리눅스 사용자 세팅
2024년 12월 18일
~/.vimrc #
1"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2" 일반 설정
3"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4"set nocompatible " Vi 호환 모드 비활성화 (Vim 기능 사용)
5set encoding=utf-8 " 파일 인코딩 설정
6syntax on " 문법 강조 활성화
7set number " 줄 번호 표시
8set relativenumber " 상대 줄 번호 표시
9set showcmd " 입력 중인 명령 표시
10set cursorline " 커서 라인 강조
11set wildmenu " 탭 완성시 메뉴 표시
12"set mouse=a " 마우스 지원 활성화
13set clipboard=unnamedplus " 시스템 클립보드와 연동
14"set ruler " 커서 위치 표시
15
16"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17" 들여쓰기 및 탭 설정
18"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19set tabstop=4 " 탭을 4칸으로 표시
20set shiftwidth=4 " 들여쓰기 시 4칸 사용
21set expandtab " 탭 대신 스페이스 사용
22set autoindent " 자동 들여쓰기
23set smartindent " 스마트 들여쓰기
24set smarttab " 탭 입력 시 스마트 처리
25
26"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27" 검색 설정
28"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29set ignorecase " 검색 시 대소문자 무시
30set smartcase " 대문자 포함 시 대소문자 구분
31set incsearch " 검색 시 입력과 동시에 결과 표시
32set hlsearch " 검색 결과 하이라이트
33nnoremap <leader><space> :nohlsearch<CR> " <Leader> + Space로 하이라이트 제거
34
35"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36" 백업 및 파일 관련 설정
37"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38set nobackup " 백업 파일 생성 안 함
39set nowritebackup " 쓰기 백업 비활성화
40set noswapfile " 스왑 파일 생성 안 함
41set undofile " 실행 취소 파일 저장
42
43"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44" 키 바인딩 (단축키)
45"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46let mapleader=" " " Leader 키를 Space로 설정
47"nnoremap <C-s> :w<CR> " Ctrl + S로 저장
48"nnoremap <C-q> :q<CR> " Ctrl + Q로 종료
49nnoremap <C-h> :nohlsearch<CR> " Ctrl + H로 검색 하이라이트 제거
50"nnoremap <Leader>e :Explore<CR> " <Leader> + e로 파일 탐색기 열기
51
52"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53" 시각적 개선
54"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55set background=dark " 다크 테마에 최적화
56colorscheme desert " 기본 색상 테마 설정
57set termguicolors " GUI 색상 지원
58
59"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60" 편리한 플러그인 관리 (vim-plug 사용 시)
61"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62" 플러그인 관리 사용하려면 ~/.vim/autoload/에 vim-plug 설치 필요
63"call plug#begin('~/.vim/plugged')
64
65"Plug 'preservim/nerdtree' " 파일 탐색기
66"Plug 'vim-airline/vim-airline' " 상태줄 개선
67"Plug 'tpope/vim-fugitive' " Git 통합
68"Plug 'jiangmiao/auto-pairs' " 괄호 자동 완성
69"Plug 'scrooloose/syntastic' " 구문 검사
70"Plug 'junegunn/fzf', { 'do': { -> fzf#install() } } " 빠른 파일 검색
71
72"call plug#end()
73
74"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75" 파일 탐색기 (NERDTree) 설정
76"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77nnoremap <Leader>n :NERDTreeToggle<CR> " <Leader> + n으로 탐색기 열기
78
79"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80" 기타 편의 기능
81"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82set scrolloff=8 " 스크롤 시 커서 위아래 여백 설정
83set signcolumn=yes " 오류/경고 표시 칼럼 항상 표시
84set splitright " 새 수직 분할 창을 오른쪽에 생성
85set splitbelow " 새 수평 분할 창을 아래에 생성
Gnome 설정 백업 및 복원 #
- 키보드 단축키 설정: 사용자가 정의한 키보드 단축키와 시스템 단축키.
-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선호 설정: 테마, 배경화면 설정, 시스템 소리 설정, 터미널 환경 설정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.
- 네트워크 설정: 네트워크 연결 및 프록시 설정.
- 하드웨어 설정: 마우스, 키보드, 디스플레이 설정 등의 하드웨어 관련 설정.
- 애플리케이션 별 설정: 각종 애플리케이션의 개별 설정들, 예를 들어 텍스트 편집기, 파일 관리자 등의 선호도 설정.
- 시스템 서비스 설정: 시스템 서비스 및 데몬 관련 설정.
1$ dconf dump / > dconf-settings-backup.ini // 백업
2$ dconf load / < dconf-settings-backup.ini // 복원
키보드 세팅 #
키보드 숏컷 #
현재 키보드 숏컷 설정값. 복원은 위에서 적힌 명령어를 각각의 경로에 쓰면 된다.
1kdh@ubuntu:~$ dconf dump /org/gnome/settings-daemon/plugins/media-keys/
2[/]
3control-center=['<Super>o']
4help=@as []
5home=['<Super>e']
6logout=['<Shift><Super>q']
7magnifier=@as []
8magnifier-zoom-in=@as []
9magnifier-zoom-out=@as []
10screenreader=@as []
11search=@as []
12terminal=['<Primary>grave']
13www=['<Super>b']
14
15kdh@ubuntu:~$ dconf dump /org/gnome/shell/extensions/
16
17kdh@ubuntu:~$ dconf dump /org/gnome/mutter/keybindings/
18
19kdh@ubuntu:~$ dconf dump /org/gnome/shell/keybindings/
20[/]
21focus-active-notification=@as []
22open-application-menu=@as []
23screenshot=@as []
24show-screen-recording-ui=['<Shift><Super>r']
25show-screenshot-ui=['<Shift><Super>s']
26toggle-overview=@as []
27
28kdh@ubuntu:~$ dconf dump /org/gnome/desktop/wm/keybindings/
29[/]
30activate-window-menu=@as []
31begin-move=@as []
32begin-resize=@as []
33cycle-group=@as []
34cycle-group-backward=@as []
35cycle-panels=@as []
36cycle-panels-backward=@as []
37minimize=@as []
38move-to-monitor-down=@as []
39move-to-monitor-left=@as []
40move-to-monitor-right=@as []
41move-to-monitor-up=@as []
42move-to-workspace-1=@as []
43move-to-workspace-last=@as []
44move-to-workspace-left=@as []
45move-to-workspace-right=@as []
46panel-run-dialog=@as []
47show-desktop=@as []
48switch-applications=@as []
49switch-applications-backward=@as []
50switch-group=@as []
51switch-group-backward=@as []
52switch-input-source=@as []
53switch-input-source-backward=@as []
54switch-panels=@as []
55switch-panels-backward=@as []
56switch-to-workspace-1=@as []
57switch-to-workspace-last=@as []
58switch-to-workspace-left=['<Primary>Left']
59switch-to-workspace-right=['<Primary>Right']
60toggle-maximized=@as []
61unmaximize=@as []
한글세팅 #
1$ sudo apt-get update
2$ sudo apt-get upgrade ibus-hangul
3$ sudo reboot
이후 keyboard 설정 input sources에 Korean(Hangul)이 추가됨. 얘빼고 나머지 다 지우면됨
이 상태에서도 사실 키보드 레이아웃이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Alt_R 키가 Hangul 키로 인식되지 않는다.
그냥 ibus 환경설정에서 한영키 전환 키를 직접 Alt_R 키를 추가하면 해결된다. 마찬가지로 한자 키도 Menu 키로 수정했다.
소스를 바꾸는 방식도 있다. ibus가 키세팅 지원안되면 그걸로 해봐도 될듯
GRUB2 설정 #
/etc/default/grub 파일에서 설정한다.
설정 후에는 sudo update-grub 명령으로 적용한다.
-
글씨크기 (해상도)
- GRUB_GFXMODE=640x480
-
글씨 색 ( / 뒤에는 배경색인데, 안적으면 없어질듯)
- GRUB_COLOR_NORMAL=“light-gray/black”
- GRUB_COLOR_HIGHLIGHT=“yellow/blue”
-
배경이미지
- 이미지를 /boot/grub 위치로 이동
- GRUB_BACKGROUND="/boot/grub/image.jpg"
-
부팅 기본 인덱스 지정
- grub 화면에서 몇번째 부팅을 인덱스로 지정할 것인지 확인
grep -Ei 'submenu|menuentry ' /boot/grub/grub.cfg | sed -re "s/(.? )'([^']+)'.*/\1 \2/"이 명령으로도 확인 가능함- GRUB_DEFAULT=4 # 인덱스는 0부터 시작.
드라이브 안보이게 설정 #
지울 드라이브 용량 확인 (disks 앱에서 확인가능)
1$ sudo vi /etc/udev/rules.d/99-hide-disks.rules
2
3KERNEL=="nvme0n1p3", ENV{UDISKS_IGNORE}="1"
4KERNEL=="sdb1", ENV{UDISKS_IGNORE}="1"
스냅샷 #
timeshift 앱 사용
1$ sudo timeshift --create --comments "Fisrt backup" --tags D
2$ sudo timeshift --restore
카카오톡 #
wine 설치 ( https://wiki.winehq.org/Ubuntu)
1# 32bit 아키텍쳐도 지원할 수 있도록 변경
2$ sudo dpkg --add-architecture i386
3
4# 키 추가
5$ sudo mkdir -pm755 /etc/apt/keyrings
6$ sudo wget -O /etc/apt/keyrings/winehq-archive.key https://dl.winehq.org/wine-builds/winehq.key
7# wine hq 레파지토리 추가
8$ sudo wget -NP /etc/apt/sources.list.d/ https://dl.winehq.org/wine-builds/ubuntu/dists/jammy/winehq-jammy.sources
9# 저장소 업데이트
10$ sudo apt update
11
12# 스테이블 설치
13$ sudo apt install --install-recommends winehq-stable
wine 폰트설정 변경 #
-
기본폰트 변경
- 나눔바른고딕 다운로드 https://hangeul.naver.com/font
- 설치 후 wine 시스템 기본 폰트로 변경
1$ cp <NanumBarunGothic.ttf 파일들> ~/.wine/drive_c/windows/Fonts/ 2$ vi ~/.wine/system.reg 3# MS Shell Dlg 검색 후 Dlg2 까지 폰트이름 변경 -
winecfg 에서 디스플레이 설정이 가능함
- 카카오톡 설치
1$ wine ~/Downloads/Kakaotalk_setup.exe
한글폰트 설정 #
세팅 > 디스플레이 > 폰트 설정에서 변경한다.